클라우드 지식 검색
대상 | 항목 | DR 연동 | DR VM 비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- 자사 서버호스팅(KSIDC) 이용 고객 - 자사 클라우드(KSCLOUD) 이용 고객 - 타사 서버호스팅 이용 고객 - 타사 클라우드 이용 고객 |
DR 구성 |
|
없음 | 트래픽 매니저 사용 시 이용료 추가 |
재난으로 DR 이관 시 |
|
지역/사양에 따라 차등 발생(별도 문의) |
- 트래픽 매니저 사용 시 이용료 추가 - DR VM 이용료는 사용한 만큼 시간 단위로 정산 |
서비스 | 서비스 상세 | 출시 일정 |
---|---|---|
클라우드 서버 / DB | 클라우드 서버 및 MySQL, MSSQL 배포 | 서비스 중 |
클라우드 스토리지 | 클라우드 기반 DAS 스토리지 | 서비스 중 |
글로벌 로드밸런싱 | 클라우드, 물리서버, 타사 클라우드 등 위치와 형태에 상관없이 이용 가능한 로드밸런싱 | 서비스 중 |
클라우드 DR 구성 | 재난 사태를 대비하여 지리적으로 분리된 곳에 클라우드 서버의 복제 본을 구성하는 서비스 | 서비스 중 |
추가 사양 삭제 | 클라우드 서버에 추가한 사양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(UI)의 자동화 | 서비스 중 |
사설 네트워크 | KS클라우드 마이페이지 상에서 사설 네트워크 구성 | 서비스 중 |
공인 네트워크 격리 | KS클라우드 마이페이지 상에서 공인 네트워크 격리 | 서비스 중 |
클라우드 서버 복제 New | 클라우드 서버를 복제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클라우드 서버를 추가 생성하는 서비스 | 서비스 중 |
서버 초기화 New | 처음 서버를 생성 당시의 상태로 돌아가지만, 초기 사양과 IP는 그대로 유지되는 서비스 | 서비스 중 |
서비스 도메인(DDNS) New | 웹DNS의 CNAME을 활용해 서버의 주소를 도메인 기반으로 설정해 놓으면 서버의 IP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설정 변경 없이 서버에 접속이 가능 | 서비스 중 |
해외 클라우드 | KS클라우드를 통해 해외 각 지역으로 클라우드 서버를 생성 및 연동하여 해외에서도 인프라 구축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| 서비스 중 |
오토스케일 | 서버의 부하가 임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서버를 증설하여 분산시키는 부가서비스 | 2017년 2분기 |
KS클라우드 API | 외부에서 KS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Restful 기반의 표준 API | 2017년 중 |
하이브리드 클라우드 (물리서버 등록) |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 구성을 위한 물리 서버의 관리 UI | 2017년 중 |